본문 바로가기
세무정보

경정청구 vs 기한 후 신고, 뭐가 다를까?

by 세복도사 2025. 1. 23.

 

 

경정청구 vs 기한 후 신고, 뭐가 다를까?

세금 신고 실수,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까요? 지난 글에서 2024년 귀속분 경정청구에 대해 알아봤죠?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점이 있어요. 만약 아예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🤔
바로 '기한 후 신고'를 해야 한답니다. ‘경정청구’와 ‘기한 후 신고’는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지만, 각각의 차이점을 잘 알아두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. 그럼 지금부터 두 가지 방법의 차이를 쉽게 알아볼까요?

세금 신고, 실수해도 괜찮아요!

"아차! 세금 신고를 잘못했네?" 또는 "앗, 신고를 안 했는데?" 이런 실수, 누구나 한 번쯤 하게 돼요. 하지만 걱정 마세요!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.

  • 이미 신고했지만 잘못 신고경정청구
  • 신고 기한을 놓침기한 후 신고

경정청구와 기한 후 신고, 뭐가 다를까요?

이 두 가지의 가장 큰 차이는 '신고 여부'에 달려 있어요. 이미 신고했다면 정정하는 것이고, 신고를 안 했다면 처음 하는 거죠.

경정청구 vs 기한 후 신고 비교
구분 경정청구 기한 후 신고
대상 이미 세금 신고를 한 경우 신고 기한을 놓친 경우
목적 잘못된 신고 내용 수정 처음으로 세금 신고
신청 기한 신고일로부터 5년 이내 법정 신고기한 이후 언제든지
가산세 없음 (단, 일부 경우 과소 신고 시 적용) 지연에 따른 가산세 부과
신청 방법 홈택스 → [신고/납부] → [경정청구] 홈택스 →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 등]

쉽게 이해하는 사례 비교

사례 1: 의료비 공제를 빠뜨린 경우 (경정청구)

철수 씨는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어요. 하지만 나중에 보니 병원비 100만 원을 공제 신청하는 걸 깜빡했네요. 이런 경우 경정청구를 통해 세금을 다시 정정할 수 있어요.

사례 2: 신고 자체를 깜빡한 경우 (기한 후 신고)

영희 씨는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했지만, 바쁜 일상 때문에 잊어버렸어요. 6개월이 지난 후 신고해야 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면, 기한 후 신고를 통해 지금이라도 신고할 수 있어요. 하지만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경정청구 & 기한 후 신고, 어떻게 신청할까요?

두 가지 모두 국세청 홈택스에서 쉽게 할 수 있어요.

  1. 국세청 홈택스 접속
  2. [신고/납부] 메뉴 클릭
  3. 해당 신고 유형 선택
  4. 서류 제출 및 완료

신고서 작성이 어렵다면 세무사에게 도움을 받을 수도 있어요.

기한 후 신고, 미루면 안 되는 이유

기한 후 신고는 신고할수록 가산세가 계속 증가하기 때문에 빠른 신고가 중요해요.

  • 신고 지연 시 최대 20%의 가산세 부과
  • 무신고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불이익 발생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경정청구와 기한 후 신고, 둘 다 해야 하나요?

A. 아니요! 이미 신고했다면 경정청구만 하면 되고, 신고를 안 했다면 기한 후 신고만 하면 됩니다.

Q. 가산세를 피할 방법은 없나요?

A. 신고 기한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며, 늦었다면 하루라도 빨리 신고하는 게 좋아요.

Q. 온라인으로만 신청 가능한가요?

A. 아니요, 세무서를 직접 방문해도 경정청구 및 기한 후 신고가 가능합니다.

마무리하며

세금 신고 실수,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! 경정청구와 기한 후 신고를 잘 활용하면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더 많은 세금 정보를 원하시면 계속해서 확인해 주세요!